본문 바로가기

pilates9

몸통의 회전력을 높이는 필라테스 스파인 트위스트 (SPINE TWIST) 동작분석 필라테스 스파인 트위스트 (SPINE TWIST)는 척추가 지면에서 수직으로 서 있기 때문에 잘 수행한다면 야구, 테니스나 골프 같은 몸의 회전력이 중요하게 쓰이는 운동의 경기력을 안전하게 높이는 데 도움이 된다. 몸통이 회전동작을 하기 위해서는 복부의 복사근이 활성화된다. 회전 방향과 같은측의 내복사근과 반대 측의 외복사근이 활성화되는데, 이 두 근육은 몸통의 회전근육임과 동시에 몸통의 굴곡 근육이므로 이들 근육이 활성화될 때 척추가 바르게 수직으로 뻗어질 수 있도록 몸통의 후면에 있는 척추 신근의 활성화도 동시에 필요하다. 필라테스 스파인 트위스트 (SPINE TWIST)는 우선다리를 모으고 앞으로 뻗어 발목을 당긴 자세 dorsi flexion에서 시작한다. 다리를 모았을 때 척추를 세우기 불안정하.. 2020. 5. 12.
고관절신근뿌시기 필라테스 숄더브릿지(SHOULDER BRIDGE) 동작분석 필라테스 숄더브릿지(SHOULDER BRIDGE)는 기본적인 브릿지bridge동작에서 응용되어 한 다리씩 들어 올리는 동작이 추가된 동작이다. 기본적인 브릿지bridge동작의 완성이 필라테스 숄더브릿지(SHOULDER BRIDGE)의 시작 자세가 되므로 지속적인 복부 근육의 활성화를 통해 몸통의 안정성을 향상시키며 발로 바닥을 밀어 골반을 들어 올리는 동작이므로 고관절 신근인 둔근과 햄스트링도 함께 강화된다. 거기에서 한 다리를 들어 올리면 바닥에서 지지하는 다리가 더 큰 무게를 유지해야 하므로 더욱더 활성화된다. 앞서 말했듯 브릿지bridge의 완성 동작이필라테스 숄더브릿지(SHOULDER BRIDGE)의 시작 자세가 된다. 바로 누워 무릎을 구부려 발을 매트에 두고 골반 너비로 벌린다(갈고리 자세)... 2020. 4. 19.
복부컨트롤 업그레이드 필라테스 바이시클(BICYCLE) 동작분석 필라테스 바이시클(BICYCLE)은 앞서 분석했던 가위 scissors 동작과 매우 비슷한데, 필라테스 바이시클(BICYCLE)이라는 이름 그대로 자전거를 타는 듯 한 다리 동작만 더 추가되어있는 동작이다. 앞뒤로 교차만 하던 가위scissor 동작과는 달리 다리를 폈다 구부렸다 교차하는 복잡한 움직임이 추가되어 있기 때문에 더 난이도가 있으며 움직이는 다리로 인해 허리의 안정성을 유지하는데 어려움이 있으므로 복부의 지속적인 컨트롤과 허리와 골반의 아치 유지에 집중해서 필라테스 바이시클(BICYCLE)을 수행하면 안정화 향상에 도움이 된다. 또한, 가위 동작과 마찬가지로 다리 전체의 밸런스를 유지하는데도 좋은 동작이다. ( 가위 scissor 동작분석 못 보신 분들을 위한 링크입니다 ▽ ) 2020/04.. 2020. 4. 18.
묵직하고 굳은 다리에 새 생명을, 필라테스 씨저스 (SCISSORS) 동작분석 필라테스 씨저스 (SCISSORS)는 팔로 골반은 지지하고 있기 때문에 척추와 골반의 안정화가 확보되어있는 상태에서 다리의 동적 스트레칭을 유도한다. 다리가 내려갈 때는 장요근이나 대퇴직근과 같은 고관절 굴근의 스트레칭을, 다리가 올라갈 때는 햄스트링의 스트레칭이 일어난다. 필라테스의 동작 중 고관절 굴근을 사용한 테이블탑 자세를 취할 때가 많은데 이러한 동작들로 인해 고관절 굴근의 긴장도가 높아져있을 때 다리의 전체적 밸런스를 위해 사용하면 좋은 동작이다. 필라테스 씨저스 (SCISSORS)의 시작 자세는 우선 롤오버 roll over동작을 하듯, 손바닥을 바닥에 두고 두 다리를 곧게 뻗어 천장 방향으로 향하게 하여 시작한다. 복부의 힘을 이용하여 골반을 들어 올리고 팔꿈치를 접어 두 손으로 골반을 받.. 2020. 4.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