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필라테스13

몸통의 회전력을 높이는 필라테스 스파인 트위스트 (SPINE TWIST) 동작분석 필라테스 스파인 트위스트 (SPINE TWIST)는 척추가 지면에서 수직으로 서 있기 때문에 잘 수행한다면 야구, 테니스나 골프 같은 몸의 회전력이 중요하게 쓰이는 운동의 경기력을 안전하게 높이는 데 도움이 된다. 몸통이 회전동작을 하기 위해서는 복부의 복사근이 활성화된다. 회전 방향과 같은측의 내복사근과 반대 측의 외복사근이 활성화되는데, 이 두 근육은 몸통의 회전근육임과 동시에 몸통의 굴곡 근육이므로 이들 근육이 활성화될 때 척추가 바르게 수직으로 뻗어질 수 있도록 몸통의 후면에 있는 척추 신근의 활성화도 동시에 필요하다. 필라테스 스파인 트위스트 (SPINE TWIST)는 우선다리를 모으고 앞으로 뻗어 발목을 당긴 자세 dorsi flexion에서 시작한다. 다리를 모았을 때 척추를 세우기 불안정하.. 2020. 5. 12.
고관절신근뿌시기 필라테스 숄더브릿지(SHOULDER BRIDGE) 동작분석 필라테스 숄더브릿지(SHOULDER BRIDGE)는 기본적인 브릿지bridge동작에서 응용되어 한 다리씩 들어 올리는 동작이 추가된 동작이다. 기본적인 브릿지bridge동작의 완성이 필라테스 숄더브릿지(SHOULDER BRIDGE)의 시작 자세가 되므로 지속적인 복부 근육의 활성화를 통해 몸통의 안정성을 향상시키며 발로 바닥을 밀어 골반을 들어 올리는 동작이므로 고관절 신근인 둔근과 햄스트링도 함께 강화된다. 거기에서 한 다리를 들어 올리면 바닥에서 지지하는 다리가 더 큰 무게를 유지해야 하므로 더욱더 활성화된다. 앞서 말했듯 브릿지bridge의 완성 동작이필라테스 숄더브릿지(SHOULDER BRIDGE)의 시작 자세가 된다. 바로 누워 무릎을 구부려 발을 매트에 두고 골반 너비로 벌린다(갈고리 자세)... 2020. 4. 19.
강한 등근육을 위한 필라테스 더블레그킥 (DOUBLE LEG KICK) 동작분석 필라테스 더블레그킥 (DOUBLE LEG KICK)은 원레그킥 one leg kick에서 팔의 지지가 사라진 난이도가 올라간 동작으로 볼 수 있다. 원레그킥이 둔근과 햄스트링을 타깃으로 하는 운동이었다면 필라테스 더블레그킥 (DOUBLE LEG KICK)는 둔근과 햄스트링도 사용되지만 척추신근의 활성화에 더욱 집중 한 동작이다. 팔의 지지 없이 상체를 들어 올려야 하기 때문에 척추 신근의 힘이나 지구력 향상에 효과적이다. 또한, 상체를 들어 올리면서 다리도 들어 올리므로 골반의 전방 경사나 허리의 만곡이 과하게 일어나지 않도록 복부의 긴장도 필요한 동작이다. 필라테스 더블레그킥 (DOUBLE LEG KICK) 동작을 시작은 엎드린자세prone position이다. 기본은 턱을 바닥에 둔 상태에서 시작하지.. 2020. 4. 11.
코어 안정화 업그레이드를 위한 필라테스 원레그킥 (ONE LEG KICK) 동작분석 필라테스 원레그킥 (ONE LEG KICK) 목적 필라테스 원레그킥 (ONE LEG KICK)은 싱글레그킥 (single leg kick)으로도 불리는 동작으로, 몸통의 중심부 안정화를 위한 대표동작이다. 다리가 움직이는 동안 몸통의 안정화를 계속 깨뜨리기 쉬운 상태에서 코어와 같은 중심부 근육의 활성화를 통해 흔들림없이 유지하는 것이 목적이 된다. 또한, 복부의 힘을 유지하면서 골반의 전방경사와 허리의 과신전을 막아야한다. 다리의 움직임에 있어서는 둔근과 햄스트링의 지속적인 활성화를 통해 지구력의 효과를 유도할 수 있다. 반대로 허벅지 앞쪽 대퇴사두근은 동적 스트레칭이 일어난다. 발목의 모양에 따라 포커스를 바꿀 수있는데, 발끝을 길게 뻗는 포인상태plantar position에서는 허벅지 앞쪽의 스트.. 2020. 3. 30.